본문 바로가기

(。♥‿♥。)/투자방법론

[가치투자101] 비즈니스 모델 분석

 

 

 

기업분석에는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고 숫자를 확인하는 작업을 정량적 분석이라고 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것은 정성적 분석이다. 그러면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일까? 비즈니스 모델이란 회사가 어떻게 돈을 버는지, 회사가 돈을 버는 방법을 말한다.

 

그렇다면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치투자101의 영상에 나온 비즈니스 모델 분석이라는 영상의 내용에 잘 요약되어 있어 해당 영상의 내용을 정리해 볼 예정이다.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할 때 확인해야 할 5가지 요소를 확인해보고 기업분석에 활용해 보도록 하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 시 확인해야할 5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산업내 경쟁강도

2. 신규진입자

3. 제품의 대체제

4. 구매자와의 교섭력

5. 판매자와의 교섭력

 

위의 다섯가지 요소들을 제지회사를 예시로 들어 어떤식으로 분석하는지 확인해 보자.

 

1. 산업내경쟁

 - 한국제지, 한솔제지, 무림페이퍼

 - 세개의 업체가 과점하고 있어서 경쟁강도가 심하지는 않음

 

2. 신규진입자

 - 국내는 거의 없고 해외의 AA(더블에이)정도가 있음

 

3. 제품의 대체제

 - 스마트기기

 - 종이로된 인쇄물들이 스마트기기를 통해 인쇄하지 않고 볼 수 있음. 즉 인쇄물들이 스마트기기로 대체되고 있음. 이는 장기적으로 제지시장의 규모가 줄어들 것임. 저평가의 이유

 

4. 판매자와의 교섭력

 - 종이의 원재료인 펄프업체는 현재 과점화가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 그결과 가격교섭력이 좋지 않을 환경일 확률이 높고 실제로 높지 않다.

 

5. 구매자와의 교섭력

 - 펄프값이 오른다고 종이값을 함부로 올리기가 힘듦. 가격 전가력이 없음.

 

 

비즈니스 모델 분석 시 중요하게 봐야하는 포인트 중 하나는 가격 전가력이다. 가격 전가력은 원재료값이 올랐을 때 제품의 가격을 올릴 수 있는 힘을 나타낸다. 가격 전가력이 있다는 뜻은 가격을 올려도 그 제품의 수요는 줄지 않는다는 뜻이고 그 말은 즉 제품의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뜻이다. 그래서 이런 기업은 영업이익이 꽤 일정하게 증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렇게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은 벨류에이션을 계산 할 때 멀티플(PER)을 좀 더 높게줄 수 있다. 그래서 같은 산업의 같은 제품을 파는 회사라 하더라도 가격 전가력에 따라서 멀티플(PER)이 달라진다.

 

 

 

영상의 내용을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nNEHAnMi88&list=WL&index=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