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101이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다. 개인적으로 수많은 투자채널 중 몇 안되는 최애 채널 중 하나이다. 이 영상을 보다보면 좋은 내용들을 잘 설명해주기 때문에 정리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이번 포스팅은 내 욕구를 채우기위한 포스팅으로 해당 영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내 생각을 조금 녹여낸 글이다.
영상의 시작은 찰리멍거의 명언으로 시작한다. "Good investing required a werid combination of patience and aggressing" 해석해 보자면 "좋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인내와 적극성의 기이한 조합이 필요하다"라는 뜻이다.
어떻게보면 인내와 적극성은 상반되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인내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기다리고 참는 것인데 적극성이 있어야 한다고 하기 때문이다. 아마 상황에 따라 두개의 상반되는 기질이 각각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인내심이 필요한 상황과 적극성이 필요한 상황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일단 인내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우리가 주식투자에서 인내심이 필요할때는 물린 종목이 올라올떄까지 기다리는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물론 이것도 맞다. 하지만 주식을 보유하기전에도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 내가 어떤 종목을 발견했을 때 급하게 사는것이 아니라 내가 저렴하다고 생각한 가격의 범위 안에 들어와야 산다는 생각으로 그 가격대에 올때까지 기다리는 인내가 필요하다.
회사와 주가의 미래는 알수가 없다. 만약 내가 매수한 회사의 주가가 망가진다고 생각해보자. 보통은 내가 주식을 매수하면서 파악한 위험요소가 아닌 다른 위험요소로 주가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 나는 주가가 망가지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을것이다. 하지만 이미 샀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보게되고 중립적으로 판단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안사고 기다린 사람은 저런 요소로도 회사가 망가질 수 있구나를 파악하면서 Buy할지 말지를 결정할 자유가 생기게 된다.
초보들은 어떤 종목을 발견하면 바로 사곤 하는데, 나는 그 종목을 알고나서 hts, mts에 등록을 해놓고 내가 원하는 가격이 올때까지 기다린다. 시간이 흘러 그 가격에 도달했을 때 재평가를 하고 회사가 여전히 괜찮다면 그떄 Buy한다. 항상 주식은 어느 가격이나 올 수 있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안전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물론 사고나서 변동하는 주가에 대해서도 인내가 필요하지만 주식이 충분히 싼 가격에 올 떄 까지 기다리는 인내도 필요하다는것을 알아야한다.
그렇다면 적극성은 언제 발휘해야할까? 내가 생각한 중요한 포인트들이 긍정적이라면 그때는적극성을 발휘해서 Buy해야 한다. 기업분석에서는 완벽한 순간은 없다. 왜냐하면 그 회사의 사장도 그 회사의 3년 후의 미래를 모르는데 외부자인 우리가 어떻게 회사를 완벽하게 파악하겠는가? 게다가 회사란건 다양한 변수들이 있다. 뜬금없이 과징금을 맞을 때도 있고 직원횡령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영업적인 문제, 영업외적인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고, 다양한 사업을 하는 회사의 경우 특정 부분의 사업이 망가지는 등등 셀수없이 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즉 회사에는 항상 긍정적인 요소와 부정적인 요소들이 존재한다. 기업분석을 하는 입장에서는 일단 내가 생각할 수 있는 최대한 많은 포인트들을 공부하고, 각 요소들의 중요도를 계산해서 부정적인 요소들이 있더라도 가장 중요한 포인트들이 긍정적이라면 그때는 적극성을 발휘해야 한다. (긍정적인 포인트들의 예는 턴어라운드, 회사의 성장, 사업환경의 변화, 트랜드의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한마디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소에는 기업공부를 하며 기다린다. 그러다가 긍정적인 요소가 더 큰 주식을 발견하면 내가 예측하지 못한 부정적인 요소도 있다는 것을 염두해서 안전마친이 충분히 확보된 가격까지 떨어지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내가 생각한 가격 밑으로 주가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Buy한다.
영상을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 확인
https://www.youtube.com/watch?v=WvvBF-K5sUU&list=PLXXydQVHgQ9dTNYlU75pBsep2t6zX__JJ&index=13
'(。♥‿♥。) > 투자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투자101] 비즈니스 모델 분석 (0) | 2022.08.25 |
---|---|
[가치투자101] 재무제표 보는 법 (0) | 2022.08.23 |
[가치투자101] 미래예측하기 vs 심리파악하기 (0) | 2022.08.17 |
[가치투자101] 하락장 대처법 (0) | 2022.08.17 |
[가치투자101] 주가의 바닥과 꼭지를 확인하는 법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