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색

초보도 강의팔이 하는 세상 요즘은 강의팔이가 넘친다. 유튜브에서 조금만 구독자가 있다 싶으면 다 클래스 101 혹은 다른 강의 플랫폼에서 다 강의팔이를 한다. 심지어는 강의팔이의 강의를 베껴서 강의팔이를 하는 그런 강의팔이의 강의팔이를 하는 사기꾼도 넘친다. 그리고 그렇게 번 돈을 가지고 여러분도 저처럼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저에게 돈을 주세요라고 하면서 또 강의를 판다. 정말 양심이란것이 출타를 해버린듯 하다. 이게 재테크에서는 더 심하다. 전문가라고 나오는 고학력자들도 재테크는 하지 않으면서 재테크강의로 돈을 번다. 혹은 그들도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극소수의 실전 투자자들(투자로 돈을 버는 사람들)의 영상을 보고 베낀다. 투자를 하지 않는데 투자를 가르치는 전문가. 투자는 하지 않지만 다른 투자자의 아이디어를 베껴 투.. 더보기
프로그래밍 나는 프로그래밍 전공을 하였지만 학교다니는 내내 프로그래밍을 싫어했다. 그래서 나는 졸업 후 프로그래밍과는 전혀 관련없는 일을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살다보니 결국은 프로그래밍으로 밥벌어 먹고 있다. 오늘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개발을 하다가 문득 재밌단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시간이 빨리가서 오늘 하루가 녹아버렸다. 대학생때는 그렇게 싫어하던 프로그래밍이었는데 지금은 6년차 개발자가 되었고, 심지어 재미를 느끼고 있다니... 참 사람 앞일은 모르겠다. 최근에 읽은 자청의 「역행자」라는 책에서는 타이탄의 도구가 될 만한 사기 스킬 중 하나가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나는 개발자를 하더라도 나중에 이것보다 돈을 더 많이 버는 일을 하게되면 언제든 갈아탈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스마트 스토어나, 유튜.. 더보기
운동을 해야하는 이유 인간의 뇌는 움직이기 위해 발달했다. 인류 대부분의 시간을 사냥을하고 몸을써왔다. 그렇기에 움직인다는 것은 인간에게 매우 중요하다. 간단한 운동이나 달리기를 하는 것 만으로도 집중력이 올라가고 우울감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도 많이 있다. 그렇기에 움직임이 줄어든 현대사회에서도 집중력을 키우고 우울감을 없애기 위해 몸을 움직여야 한다. 위 내용은 책 「인스타 브래인」의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우리의 뇌는 아직 사바나에서 살고있구나란 생각이든다. 이젠 사냥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수십만년을 그렇게 살아왔고 그렇게 발달해왔기 때문에 현대시대의 빠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머물러 있음이 느껴진다. 이런 뇌의 특징을 알고 현대시대에 유리하도록 잘 활용할 수 있다면,.. 더보기
휴대전화의 블루라이트와 수면 시간 우리의 생체 리듬은 빛에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멜라토닌은 잠을 이루게 해주는 호르몬인데, 빛에 노출되면 적게 분비되었다가 어두워지면 멜라토닌을 생성하여 잠을 잘 수 있게 한다. 멜라토닌 생성에는 빛의 노출량뿐만 아니라 노출된 빛의 종류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블루라이트는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잠을 자기 전에 휴대전화나 테블릿을 사용하면 블루라이트가 뇌를 깨워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하게 된다. 그러니 잠들기 전에 핸드폰을 보거나 전자책을 읽는 행위는 피하는게 좋다. 위 내용은 「인스타 브래인」의 휴대전화의 블루라이트와 수면 시간에 대한 내용을 정리 요약한 것이다. 요즘 핸드폰 하는 시간이 많이 늘어난 기분이 든다. 핸드폰 사용 시간이 늘어 시간도 뺏기고 집중력.. 더보기
호9가 나쁘다9? 나는 호구기질이 있다. 내가 아끼는 사람이 힘들어하면 도와주고 싶고, 챙겨주고 싶어진다.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겠지만 난 좀 심하다고 생각될 때가 있다. 한때는 이런 성향을 좀 고쳐야 될 것 같다고 생각한 적도 있다. 하지만 이 비밀을 알고나서부터는 고치기보단 똑똑하게 사용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에는 성향에따라 기버, 매처, 테이커가 있다고 한다. 기버는 말 그대로 주는사람이다. 매처는 받은만큼만 돌려주는 사람이고 테이커는 받기만 하는 사람이다. 이 유형들 중 성공한 사람의 유형이 가장 많은 유형이 뭔지 아는가? 바로 '기버'이다. 이 유형들 중 실패한 사람의 유형이 가장 많은 유형은 뭔지 아는가? 그것도 바로 '기버'이다. 최하위권의 기버와 최상위권의 기버는 뭐가 다를까? 그 둘의 차이는 바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