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애널리스트 TP 작년 상승장을 겪고 하락장이 온 지금 시점에서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를 보며 드는 생각 중 하나 이사람들은 주가에 리포트를 끼워맞추는것 같다. 주가가 오르면 높은 멀티플을 줘서 TP를 높이고, 주가가 떨어지면 낮은 멀티플을 줘서 TP를 낮추고... 뭐 그 사람들도 직장인인지라 아무리 회사가 좋아도 주가가 떨어지면 TP를 낮추는건 이해할 수 있다. 근데 주가에 따라 뷰도 바뀐다는게 문제다. 카카오뱅크가 상장할 때를 기억하는가? 기존 은행과는 다른 플랫폼 기업이라면서 좋다고 물고 빨고 하면서 PER이 100이 넘는 가격인 8만원 이상을 TP로 제시했다. 근데 이제는 비용증가니 뭐니 하면서 안좋은 점들을 나열하며 TP를 3만원까지 낮췄다. 불과 1년만이다. 1년만에 카카오뱅크의 주가는 고점대비 3/1토막이 났지.. 더보기
[가치투자101] 저는 이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합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그냥 잘 될것같은 종목들을 모아놓은 것도 있고 공격과 방어를 나눠서 종목별로 구성하는 등 방법은 다양하다. 이 포스팅에서는 가치투자101 채널의 주인장이 어떤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지를 정리해 보았다. 이 채널의 주인장은 Potential Risk 가 낮은방향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고 한다. Potential Risk는 우리말로 잠재적 위험이란 뜻으로 잠재적 위험이 낮은 쪽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투자 세계는 언제나 상상하지 못한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상상하지 못한 일이 발생할 것을 미리 고민해서 벨류에이션에 반영을 하고 현재 가격이 얼마나 싼지를 고민하는것이 정말 중요하다. 즉 싸게사는게 정말 중요하다는 뜻이다. 하지만 보통은 .. 더보기
[가치투자101] 비즈니스 모델 분석 기업분석에는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고 숫자를 확인하는 작업을 정량적 분석이라고 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것은 정성적 분석이다. 그러면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일까? 비즈니스 모델이란 회사가 어떻게 돈을 버는지, 회사가 돈을 버는 방법을 말한다. 그렇다면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가치투자101의 영상에 나온 비즈니스 모델 분석이라는 영상의 내용에 잘 요약되어 있어 해당 영상의 내용을 정리해 볼 예정이다.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할 때 확인해야 할 5가지 요소를 확인해보고 기업분석에 활용해 보도록 하자. 비즈니스 모델 분석 시 확인해야할 5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산업내 경쟁강도 2. 신규진입자 3. 제품의 대체제 4. 구매자와의 교섭력.. 더보기
[가치투자101] 재무제표 보는 법 투자방법론 [가치투자101] 재무제표 보는 법 우리가 기업을 분석하는데는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는 정성적 분석과 회계를 통해 분석하는 정량적 분석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량적 분석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 생각이다. 이 포스팅에 대한 내용은 가치투자101의 재무제표 보는 법이라는 영상을 정리하고, 나의 생각을 추가적으로 적은 것으로 회계를 볼 때 어떤점을 봐야하는지 초심자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수 있을것 같아 글을 남겨보려한다. 정량적 분석에서는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 이렇게 세가지를 중요하게 본다. 각각의 것들이 어떤것을 나타내고 무엇을 봐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회사의 성적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손익계산서를 통해 이 회사가 영업을 잘했는지 못했는지를 알 수 있다.. 더보기
주식투자에 집중하게 된 이유 코로나 팬데믹 때 처음 주식을 시작했다. 그동안 직장을 다니면서 모은 돈은 부모님을 빌려드렸기 때문에 모아둔 돈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첫 시작은 50만원으로 시작을했다. 그렇게 소소하게 시작했고 지금은 1억정도가 되었다. 3년정도 걸린것 같다. 나는 코로나 팬데믹 전부터 주식에 관심이 있었다. 아니 주식에 관심이 있었다기 보다는 돈버는데 관심이 있었다. 나이를 먹고 회사의 상사들을 보다보니 내 미래가 문득 겁이 났고 그래서 스마트스토어, 무자본창업, 블로그, 유튜브, 부동산, 주식등 돈버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서 무엇을 해야 좋을까 간을보고 있었다. 그러다 갑자기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했고 이때다 싶어서 그나마 있던 여유자금으로 시작한게 벌써 2년 6개월이 지났다. 2년 6개월을 돌이켜보면 정말 .. 더보기
[가치투자101] 좋은 투자자가 되는 요건 가치투자101이라는 유튜브 채널이 있다. 개인적으로 수많은 투자채널 중 몇 안되는 최애 채널 중 하나이다. 이 영상을 보다보면 좋은 내용들을 잘 설명해주기 때문에 정리하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 이번 포스팅은 내 욕구를 채우기위한 포스팅으로 해당 영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내 생각을 조금 녹여낸 글이다. 영상의 시작은 찰리멍거의 명언으로 시작한다. "Good investing required a werid combination of patience and aggressing" 해석해 보자면 "좋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인내와 적극성의 기이한 조합이 필요하다"라는 뜻이다. 어떻게보면 인내와 적극성은 상반되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인내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기다리고 참는 것인데 적극성이 있어야 한다고 .. 더보기
[가치투자101] 미래예측하기 vs 심리파악하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주식은 예측의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회사의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맞는 주가를 예상해서 투자를 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확률이 낮다. 투자에서는 미래를 예측하기보단 경향성을 파악해야 한다고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익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더 중요한건 확률이다. 우리가 주식으로 의미있는 돈을 벌려면 큰돈을 넣어야 한다. 100만원의 3배는 300만원이지만 1억의 30%는 3천만원인것을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이다. 확률이 떨어지면 큰 돈을 넣는것 자체가 부담이되고 지속가능성이 떨어지고 리스크가 커진다. 위와같은 이유로 주식투자에서는 확률을 높이는게 중요하다. 하지만 미래를 예측한다는건 확률을 떨어뜨리는 행위이다. 예를들어 회사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4가지 가정을 했다고 해보자.. 더보기
[가치투자101] 하락장 대처법 투자방법론 [가치투자101] 하락장 대처법 오늘은 내 최애 채널 중 하나인 가치투자101의 내용을 요약해보고 내 생각을 써보려한다. 영상의 제목은 하락장 대처법이다. 하락장을 경험하며 내가 실수라고 생각했던것들에 대해 잘 알려주는 영상이었다. 그리고 그에따른 대처법 또한 알려주니 체화해두고 항상 염두하며 투자하면 좋을것으로 생각된다. 평소에도 항상 현금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평소에 현금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평소에 현금을 보유하는건 힘들다. 실제 주식 100%를 가지고 있다면 주식80%를 가지고 있는 것보다 성과가 났을 때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성과가 났을 때 놓칠지도 모른다는 욕심이 때문에 현금보유가 쉽지가 않다. 하지만 과도한 욕심은 장기적 성과를 저해한다고 생각한.. 더보기